투비소프트의 UI개발플랫폼인 MiPlatform(MP) 및 XPlatform(XP)을 현대화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자원을
과도하게 사용하지 않으면서 다른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고려해야 합니다. 이 과정에서, 자원 사용을 최적화하고
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Auto Converter 기술을 통한 Nexacro Conversion Service를 활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
이 서비스를 적용한 여천NCC 업무포털, 한양대학교 교내학사행정, 금융감독원 등 다수의 전환/고도화 프로젝트는
일반적인 전환/고도화 프로젝트 대비 많은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습니다.
프로젝트 경험 상 넥사크로 전환개발이 진행 완료된 화면에 대해서 컴포넌트 크기, 컴포넌트 간격 및 컴포넌트 재배치 등 화면에 대한 요구기능이 변경될 수 있는데,
이처럼 프로젝트 중간에 일부 디자인요소를 변경해 줘야 하는 경우라면, 이젠고 Re:Gen 도구를 활용하면 화면에 대한 일괄변경 작업이 쉬워집니다.
01
분석 설계단계
(분석기 도구활용)
02
개발 및 테스트 단계
(변환기 도구활용, Re-work 도구 활용)
디자인영역, 스크립트영역 변환규칙을 설정해서 컨버팅을 하면 변환율(Hit율)이 높아지고,
Re:Gen을
활용하면 넥사크로 화면 컴포넌트 크기, 간격, 재배치 그리고 단어 및 컬럼명 일괄변경 작업이 쉬워진다.
변환대상항목 룰매핑 작업을 통해서 변환율을 높인다.
디자인영역
자동변환 결과
마이플랫폼 화면 vs 넥사크로플랫폼 화면.
스크립트 & 데이터셋
자동변환 결과
데이터셋은 100% 변환, 스크립트는 X-LOG 를 남겨서 개발자가 참조할 수
있도록
로그를 남긴다.
개발자는 스크립트에 기록된 X-LOG를 확인하면서
수정작업 진행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