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AQ banner

자주묻는 질문

1. SI프로젝트는 설계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반면 컨버전프로젝트는 AS-IS 소스분석 및 코드변환을 변환기로 하기 때문에 설계기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됨.
2. SI프로젝트는 설계서를 기반으로 개발이 진행되므로 1본당 약 2~3일 정도 개발기간이 소요되는 반면 컨버전프로젝트는 자동변환된 소스를 기반으로 전환개발을 진행하기 때문에 1일 2~3개 전환개발이 가능함.
. 컨버전프로젝트는 테스트시 업무를 잘 알고 있는 운영팀이 테스트에 참여할 때 효과가 극대화 됨.

컨버전프로젝트는 아래와 같은 단계로 진행됩니다.
1. 계획 - 구조분석
2. 변환 - 컨버팅
3. 수정 - 디버깅 및 기능테스트
3. 테스트 - 업무기능 Full테스트 . 업무기능 Full 테스트는 업무를 잘 알고 있는 운영팀이 테스트에 참여할 때 효과가 극대화 됨.

1. 규모산정 : 사전검토 및 규모산정은 컨버터 분석기를 활용해서 넥사크로플랫폼 코드로 전환하기 위한 검토과정

2. 표준개발 : 컨버전컨설턴트 역할: 룰매핑 작업을 통해서 변환율을 높일 수 있도록 설정정보 생성 및 변환되지 않는 항목들은 유형별로 전환개발 가이드를 제작해서 전환개발자 교육 진행
3. 전환개발 UI전환 개발자 : 변환코드와 전환개발 가이드를 참조해서 업무에 대한 UI디버깅 작업을 진행하는 개발자
4. 테스트 업무담당자, 유지보수 담당자: 컨버전 프로젝트에서 테스트는 일반프로젝트에 비해서 비중이 크며, 특히 업무기능 Full 테스트 는 가장 중요한 과정입니다. 업무프로세스를 가장 잘 아는 업무담당자 또는 유지보수 담당자가 주도적으로 참여해서 테스트가 원활하게 진행되어야 함.

아래와 같이 단계별 준비과정을 통해서 변환규칙(룰매핑) 기준으로 소스코드가 자동변환 됩니다.
1. 시스템분석 - 구조분석
2. 표준정의 - 프레임 재구성, CSS제작
3. 변환규칙 - 룰매핑작업
4. 자동변환 - 코드변환 AS-IS 소스코드에 대한 디자인 영역, 스크립트 영역에 대한 변환규칙을 셋팅하고 자동변환을 하게되면 TO-BE 소스코드 Hit율이 높아짐.

1. 분석기: 시스템 구조분석
2. 컨버터 : 코드변환
3. 디자이너 : 폼수정

1. 비용고려 : 적은비용 때문에 시스템전환을 고민하는 고객에게 점진적 전환(2안)을 제안

2. UX개선 및 ROI 확보 : UX개선과 동시에 레거시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점진적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ROI확보 가능
3. 점진적 전환 수행 : 착수와 단계에서 통합포탈(One-Platform) 환경을 구축 후 New 화면과 레거시 화면이 하나의 서비스로 제공되기 때문에 점진적 전환 가능
4. 핵심업무 중심으로 선도개발 : 핵심업무 중심으로 이젠고에서 선도개발을 수행하고, 미전환된 레거시 화면을 재사용 함으로써 전체 재개발 리스크를 감소
5. UX중심의 사용자업무 흐름을 재설계 : 개인화 통합메뉴를 통해서 사용자업무 흐름에 따라서 여러 시스템에 흩어져 있는 메뉴를 재구성
6. 적은 비용으로 UX개선 및 ROI를 확보하고 전체 재개발에 대한 리스트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One-Platform(가칭) 구축 및 점진적 전환 추진전략 제안